내용 |
저자: 유흥준 前 문화재청장외 10인
2011년 국립고공박물관의 '왕실문화 심층탐구' 교양강좌를 바탕으로 전면 재집필한 이번 책은 조선을 대표하는 궁궐인 창덕궁을 그야말로 심층적으로 들여다본 본격 궁궐연구서이다.
총 11개의 장으로 나눠서 창덕궁을 다룬다. 조선왕조 5백년의 건축기법을 모두 간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창덕궁의 건축적 아름다움을 먼저 다루고, 조선시대에 그려진 궁궐도를 통해 창덕궁의 전체적인 모습과 이모저모를 자세히 들여다보았다.
왕의 얼굴을 화폭에 담는 어진 제작의 현장이었던 창덕궁 선원전의 설치와 운영의 실태를 들여다보는가 하면, 그 넓고 아름답고 그윽한 정취로 인하여 비원秘苑으로 불리는 창덕궁의 후원을 구조적으로 뜯어보기도 했다. 창덕궁은 조선시대에 가장 화려한 잔치가 열린 현장이었다. 그 잔치를 빛낸 궁중음악과 춤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탐구했다.
또한 풍수를 통해 창덕궁을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 조명함으로써 우리의 선조들이 궁궐에 담아놓은 자연의식을 읽어냈으며, 1만5000그루가 넘는 창덕궁의 나무들을 통해 각 나무들이 품고 있는 역사적 기억과 풍광을 겹쳐서 읽어내기도 했다.
비운의 군주 헌종의 서화수장 취미가 펼쳐졌던 창덕궁 낙선재의 기억을 보듬어보았으며, 대한제국 최후의 정전인 인정전의 건축사를 시대별로 살펴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창덕궁의 벽화를 하나하나 선별해 깊이 읽기를 시도했으며, 대한제국 황실의 마지막 모습을 간직하기도 했던 창덕궁의 근대시기 모습을 영친왕과 덕혜옹주라는 창을 통해 되새김해보았다.
|